한국은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도시의 혁신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서울시 스마트시티
서울시는 마곡지구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마곡지구에 U-City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 완료하였으며, 현재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로의 전환을 추진 중입니다. 특히, 빅데이터를 핵심으로 하는 9개 과제 및 인프라 6S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되어 스마트시티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총사업비 22조 원 규모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되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실증 및 접목을 목표로 합니다. 이상적 도시 공간 구현과 플랫폼 구축, 서비스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운영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는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도시 정보를 연계·수집하여 분석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도시 운영을 지원하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실증 과정을 거쳤습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전국 광역지자체에 보급되어 버스노선 최적화, 범죄안전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외로 진출하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과 경험은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터키 가지안텝, 미국 볼티모어, 스페인 산탄데르 등 11개국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솔루션이 진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터키 가지안텝에서는 삼성 SDS가 중소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실증하고 있으며, 미국 볼티모어에서는 이큐브랩이 폐기물 관리 솔루션을 실증하고 있습니다.
결론
한국은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축에 앞장서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과 기술을 해외로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 스마트시티 선도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미래기술, 어디까지 왔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보다 빠른 ‘하이퍼루프’, 한국에서도 가능할까? (0) | 2025.03.22 |
---|---|
친환경 전기차, 진짜 친환경일까? 환경적 영향과 현실적 과제 (1) | 2025.03.22 |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혁신 : 미래 이동수단의 변화 (0) | 2025.03.17 |
AI 기반 퍼스널 어시스턴트의 발전과 활용 : ChatGPT, Google Gemini,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2) | 2025.03.16 |
메타버스와 VR·AR 기술의 미래 :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다 (2)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