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달라진 본인인증 방식 총정리

728x90

공인인증서 폐지 이후 5년,
전자서명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인증 방식의 자유화’와 ‘인증 기술의 신뢰도 기준 강화’라는 두 축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자서명법 개정의 핵심 내용과 그로 인한 본인인증 방식의 변화,
그리고 우리가 일상 속에서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를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인증
작가 rawpixel.com 출처 Freepik

 


전자서명법 개정의 배경과 핵심 변화

2020년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된 후,
정부는 다양한 민간 인증 수단의 경쟁을 장려해왔습니다.
그리고 2025년 개정 전자서명법은 기술 기준과 인증 제도의 신뢰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요약 :

항목 개정 전 개정 후 (2025년)
인증 방식 공인 vs. 민간 구분 모든 전자서명은 법적 효력 동등
신뢰성 검증 자율 KISA 전자서명인증사업자 평가제도 의무화
기술 중립성 모호함 생체인증, DID(분산신원) 등 허용 명시
본인확인 기준 단일 방식 중심 다요소 인증(MFA) 기준 반영 강화

✅ 핵심 요점 : 인증 방식은 다양해지고, 평가 기준은 강화됨


지금 쓰이는 본인인증 방식, 어떻게 달라졌나?

✅ 주요 인증 방식 변화

인증 방식 설명 2025년 변화점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의 후속 여전히 사용 가능, 민간 인증과 동등
PASS 인증 통신사 기반 간편 인증 다요소 인증(MFA) 연계 권장
카카오·네이버 인증서 간편 비밀번호/지문 기반 보안등급에 따라 차등 활용 가능
생체인증 (지문, 안면 등) 생체 정보 기반 인증 기술 중립성 확대로 제도권 인증 인정
DID (분산신원확인)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신원증명 공공기관 일부 서비스 시범 적용 시작

✅ 참고 :
기존 ‘서명 도구’ 역할에서 → 본인 인증 수단 전반으로 전자서명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KISA 인증제도, 앞으로는 필수가 된다

2025년부터는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도
KISA 전자서명인증사업자 평가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과 연계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인증 평가 항목 설명
보안성 데이터 암호화, 위변조 방지 기술 수준
신뢰성 사용자 인증 정확도, 재사용 가능성
편의성 UI/UX, 장애 발생률 등
기술 중립성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을 것

✅ 인증 평가를 통과한 인증서만이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수단’으로 간주됨


일반 사용자가 알아야 할 본인인증 체크포인트

📌 ① 아직도 공동인증서만 쓰고 있다면?

민간 인증서(네이버, 카카오, PASS 등)도 활용해보세요
→ 점점 더 많은 금융·공공기관이 공동인증서 외 인증 수단을 채택 중

📌 ② 생체인증, 보안에 더 유리할까?

→ 보안성과 편의성 모두 뛰어나지만,
→ 반드시 암호화된 저장/전송 여부 확인 필요

📌 ③ 본인인증 시 가장 안전한 방식은?

이중 인증(MFA : Multi-Factor Authentication)
→ 예 : 패스워드 + 생체정보 / 인증서 + 1회용 문자코드


향후 전망 – ‘인증의 주도권’은 사용자에게

전자서명법 개정은 인증의 ‘플랫폼’보다
‘사용자의 선택권과 기술 신뢰도’ 중심으로 무게추가 이동했음을 뜻합니다.

과거 현재
정부 인증서 중심 사용자 중심 인증 방식 확대
특정 방식 강제 기술 자율성 + 보안 기준 강화

✅ 즉, 어떤 인증 방식을 쓰든 법적 효력은 동일
다만, 인증 서비스의 신뢰도와 보안성 확보 여부가 중요해졌습니다.


마무리

2025년 전자서명법 개정은
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사용자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어떤 인증 수단을 쓰느냐보다
얼마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냐가 중요해집니다.

 

지금 사용하는 인증 서비스의 보안성과 신뢰성,
직접 비교해보고 필요한 보완책을 준비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