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저소득층 냉난방비 지원 계획 총정리 – 신청 대상과 지원 금액은?

728x90

에너지 요금 인상과 이상기후로 인해 냉난방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는 2025년에도 저소득층 가구를 위한 냉난방비 지원 정책을 강화합니다.

 

특히 에너지 취약계층인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노인 단독가구 등을 중심으로
여름·겨울철 계절별로 에너지 바우처가 지급되며, 지자체별 추가 지원도 병행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저소득층 냉난방비 지원 정책의
지원 대상, 신청 조건, 금액,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에어컨-1
작가 lifeforstock 출처 Freepik


냉난방비 지원 주요 정책 개요

구분 내용
정책명 에너지 바우처 제도 + 지자체 냉난방비 특별 지원
시행부처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시행 기간 여름 바우처 : 2025년 7월 ~ 9월 / 겨울 바우처 : 11월 ~ 다음해 3월
지급 방식 전기요금, 도시가스 요금 자동 차감 or 카드 결제

 


2025년 에너지 바우처 지원 대상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② 주민등록상 독립세대 구성원
③ 세대원 중 아래 중 하나 이상 해당

  • 만 65세 이상 노인
  • 만 6세 미만 영유아
  • 장애인 등록자
  • 임산부
  •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 등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

구분 여름 바우처 (냉방) 겨울 바우처 (난방)
1인 가구 약 9,000원 약 130,000원
2~3인 가구 약 13,000원 약 180,000원
4인 이상 가구 약 15,000원 약 210,000원

※ 금액은 지역별 기온·난방비 수준을 반영하여 변동 가능
바우처 카드 or 실시간 전기·가스 요금 차감 방식 중 선택 가능


신청 방법 및 일정

항목 내용
신청 시기 2025년 5월 ~ 6월 (여름 바우처), 10월 ~ 11월 (겨울 바우처)
신청 장소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서류 신분증, 수급자 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시)

2024년에 이미 신청한 가구는 자동 연장되며, 신규 신청자는 반드시 방문 신청 필요


지자체별 냉난방비 추가 지원 (예시)

지자체 지원 내용
서울특별시 폭염 시 선풍기·에어컨 제공, 7~9월 전기요금 3만 원 추가 지원
경기도 기초수급자에 연 1회 5만 원 냉난방비 현금 지급
강원도 고지대 농촌지역에 석유난방비 최대 10만 원 지원

※ 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냉난방비 지원” 또는 “에너지바우처” 검색


유의사항

  • 신청 기간 외에는 바우처 신청이 불가하므로 일정 확인 필수
  • 에너지 사용이 확인되지 않으면 바우처 금액 회수될 수 있음
  • 계절별 사용 기한이 지나면 미사용 금액 소멸됨

에어컨-2
작가 macrovector 출처 Freepik


마무리

2025년 저소득층 냉난방비 지원은
단순한 공공요금 감면이 아니라 건강과 생존권을 보호하는 생계 지원 정책입니다.

 

무더운 여름, 추운 겨울을 보다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해당 대상자라면 꼭 신청하시고,
지자체의 추가 지원 여부도 함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청은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서 간단한 서류만으로 가능하며,
이미 수급 중인 경우에도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